슈퍼문 뜬따! 13일 저녁부터 14일 새벽까지
내일(13일)부터 내일모레(14일) 새벽까지 올해 가장 큰 달 슈퍼문이 뜬다고 해요. 한국천문연구원에서 올해 가장 큰 둥근달을 7월 14일 새벽 3시 38분경 볼 수 있다고 했습니다. 슈퍼문이란 무엇인지, 슈퍼문 뜨는 시간, 관련 행사 및 슈퍼문 생중계 일정 등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슈퍼문 이란
슈퍼문은 지구와 달의 거리가 근지점(약 35만 7,000km)에 있으면서, 보름달일 때의 달을 말합니다. 놀랍게도 슈퍼문이라는 단어는 천문학 정식 용어가 아니라고 합니다. 1979년 외국의 한 점성술사에 의해 만들어진 이름이라고 하는데요. 천문학에서는 근지점 삭망(perigee-syzygy)이라고 합니다. 근지점은 궤도를 도는 천체가 중심 천체와 가장 가까워졌을 때를 뜻하는 말이고, 삭망은 달과 지구 그리고 태양이 일직선을 이룰 때를 뜻합니다.
지구 상에서 달의 크기가 다르게 보이는 이유는 달이 지구 주위를 타원 궤도로 돌기 때문인데요. 달이 지구 주변을 공전하면서 가까워지면 달이 커 보이는 것이고, 멀면 작아 보이는 것이죠.
계속해서 바뀌는 달과 지구 거리를 평균하였을 때 38만 4,400km 정도라고 합니다. 평균 거리보다 좀 더 가까워지는 거리인 약 35만 7,000km 정도일 때를 근지점이라고 하며, 슈퍼문은 근지점에 접한 달이 보름달일 경우를 말합니다.
슈퍼문 주기
달이 지구를 1달에 1번, 1년에 12번을 공전하니깐 한 달에 한 번씩 근지점에 도달할 테고, 그렇다면 매달 슈퍼문을 볼 수 있어야 하는 게 아닐까요? 왜 꽤 긴 주기로 슈퍼문을 보게 되는 것일까요?
그 이유는 슈퍼문이 발생하는 주기와 빈도가 불규칙적이기 때문이라고 하는데요. 근월점(근지점→근지점으로 돌아오는 주기)이 약 27.55일이고, 삭망월(보름달→보름달로 돌아오는 주기)은 약 29.53일로 두 주기가 딱 맞아떨어져 야만 슈퍼문을 볼 수 있다고 합니다.
역대 가장 가까웠던 슈퍼문은 2016년 11월 14일에 뜬 초슈퍼문(Hyper Super Moon)으로, 지구 중심에서 356,511km까지 도달했었다고 합니다.
슈퍼문의 반대는 미니문(Mini Moon)이라고 하는데요. 반대로 지구와 달의 거리가 가장 멀어졌을 때의 달을 말합니다. 지난 1월 18일 미니문 현상이 이미 발생했다고 하네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달과 지구의 평균 거리인 38만 4,400km의 거리와 비교해보자면, 지난 1월 18일에 뜬 미니문의 경우 약 40만 1,024km로 평균 거리보다 약 1만 6천km 이상 멀어진 경우이고, 7월 14일 뜨는 슈퍼문의 경우 약 35만 7,418km로 평균거리보다 약 2만 7천 km 이상 가까운 것이죠.
슈퍼문 뜨는 시간
슈퍼문을 가장 일찍 볼 수 있는 지역은 제주도 입니다. 제주도에서는 13일 19시 40분에 떠서 다음날인 14일 새벽 5시 32분에 진다고 해요. 서울 기준 13일 19시 52분에 떠서 14일 새벽 5시 16분에 진다고 하는데요. 출몰시간과는 관계없이 14일 3시 38분에 망(가장 큰 둥근달, 望) 상태가 되어 전국 어디서나 가장 큰 보름달을 볼수 있다고 합니다. 제주와 서울지역 외 타 지역별 출몰 시각에 대해서는 한국천문연구원 천문우주지식정보 홈페이지를 참고해주세요.
슈퍼문이 가장 먼저 뜨는 제주도 '제주별빛누리공원'에서 13일 저녁 슈퍼문 관측이벤트를 개최한다고 하는데요. 온라인으로도 생중계(유튜브 '제주별빛누리공원' 채널)된다고 하네요. 기상상태에 따라 행사 진행여부가 달라질수 있다고 하니 관심있으신분들은 제주별빛누리공원 홈페이지를 통해 미리 체크해보셔야겠습니다.
국립과천과학관(홈페이지)에서도 슈퍼문 관측행사를 한다고 하는데요. 인근에 거주하시는분들은 여름 방학을 맞이하여 자녀분들하고 함께 가보시는것도 좋을것 같습니다. 현장행사 뿐 아니라 국립과천과학관 유튜브 채널을 통해 생중계할 예정이라고 하니 찾아가지 못하는 분들은 유튜브로 생중계 영상 보시면 좋을 것 같아요.
이처럼, 달과 지구가 가까워진다 하더라도 슈퍼문이 뜨는 지역별 기상상태에 따라 육안으로 구별이 되지 않을 수도 있다고 하네요. 만약 각 지역에서 개인적으로 망(가장 큰 둥근달, 望) 상태의 달을 보기 위해 준비 중이시라면 14일 새벽 3시 38분경 기상상태를 미리 체크해 두시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
지금까지 슈퍼문 뜻, 슈퍼문 원리, 2022년 슈퍼문 뜨는 시각, 지역별 출몰 시각, 관측행사 등 다양하게 알아보았습니다. 끝.
'이슈·정보 >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 세계 싱크홀 BEST 9곳 (0) | 2022.08.05 |
---|---|
낙산해수욕장 인근 싱크홀 (편의점 사진 gif 영상) (0) | 2022.08.04 |
홍루이젠 메뉴 홍루이젠 샌드위치 가격 칼로리 정보 (0) | 2022.08.01 |
스타벅스 포름알데히드 (캐리백 교환 방법 기간, 고객사과문 보상 안내) (0) | 2022.07.25 |
임영웅 콘서트 취소표 예스24 재오픈 일정 발표 (비행기 모드 보완은?) (0) | 2022.07.11 |
나와 맞는 회사 MBTI 성격유형은? (기업 MBTI 채용 논란) (0) | 2022.07.10 |
개정된 도로교통법 횡단보도 우회전 일시정지 (7월 12일부터 시행) (0) | 2022.07.10 |
네고왕 오호라 젤네일 네고 항목 주문방법 등 (0) | 2022.07.09 |